본문 바로가기

한글 문서 파일 용량 줄이기 완벽 가이드 이미지 압축 방법

ggqudrndl 2025. 4. 3.

한글 문서 파일(HWP, HWPX)의 용량이 너무 커서 전송이나 공유에 어려움을 겪고 계신가요? 이 글에서는 한글 문서의 용량을 효과적으로 줄이는 3가지 방법(모바일 최적화 문서로 저장하기, 그림 용량 줄이기 설정, HwpX Image Shrinker 프로그램 활용)을 상세히 알려드립니다. 간단한 설정만으로 파일 크기를 최대 80%까지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지금 확인해보세요.

한글 문서 파일 용량이 큰 이유

한글 문서 파일의 용량이 생각보다 큰 경우는 대부분 문서에 삽입된 그림 파일의 용량이 크기 때문입니다. 텍스트만으로 구성된 문서는 용량이 작지만, 이미지나 그래픽이 포함된 문서는 용량이 급격히 증가합니다. 특히 고해상도 이미지가 많이 포함된 보고서나 제안서의 경우 파일 크기가 수십 MB에 달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대용량 파일은 이메일 첨부나 웹 업로드 시 제한에 걸리거나, 문서 열람 시 버벅거림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다행히 한글 프로그램에서는 문서 용량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여러 방법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 내용 자세히 보기  👇👇👇

한글 파일 용량 줄이기 방법 3가지

1. 모바일 최적화 문서로 저장하기

가장 빠르고 효과적인 방법은 한글 파일을 모바일 최적화 문서로 저장하는 것입니다. 이 방법은 파일 크기를 최대 80%까지 줄일 수 있습니다.

방법:

  1. 용량을 줄일 한글 파일을 엽니다.
  2. 메뉴 표시줄의 [파일] - [모바일 최적화 문서로 저장하기]를 클릭합니다.
  3. 파일이 저장될 위치와 이름을 지정합니다. 원본 파일의 이름과 다르게 파일 이름을 지정하여 덮어쓰지 않도록 합니다.
  4. [저장] 버튼을 클릭합니다.
  5. "모바일 최적화 문서는 차트, 글맵시, OLE, 양식 개체 및 그룹화된 개체를 그림으로 저장하며 해상도가 낮아집니다"라는 메시지가 나타나면 [저장]을 클릭합니다.

장점: 파일 크기를 가장 많이 줄일 수 있는 방법입니다.

단점: 삽입된 개체들이 이미지로 바뀌어 저장되기 때문에 나중에 수정할 때 불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미지 해상도가 낮아질 수 있습니다.

2. 그림 용량 줄이기 설정 사용하기

이 방법은 문서에 삽입된 이미지의 용량을 줄이는 방법으로, 원본 문서의 편집 가능성을 유지하면서 용량을 줄일 수 있습니다.

방법:

  1. 용량을 줄일 한글 파일을 열고, 삽입된 그림 중 하나를 클릭합니다.
  2. 그림이 선택되면 상단에 나타나는 [줄이기] 아이콘을 클릭한 후 [용량 줄이기 설정]을 선택합니다.
  3. 그림 용량 줄이기 설정 창에서 다음 옵션을 선택합니다:
    • 용량 줄이기: "저장할 때 모든 그림에 적용" 선택
    • 선택 사항:
      • "잘라낸 그림 영역 지우기" 체크
      • "삽입한 그림 크기에 맞춰 줄이기" 체크
      • "설정한 해상도(dpi)로 변경하기" 체크 (해상도는 150dpi 정도가 적당)
  4. [확인]을 클릭합니다.
  5. [줄이기] - [모든 그림에 바로 적용]을 클릭합니다.
  6. 메뉴 표시줄의 [파일] - [다른 이름으로 저장하기]를 클릭해 파일을 저장합니다.

장점: 원본 문서의 편집 가능성을 유지하면서 용량을 줄일 수 있습니다.

단점: 모바일 최적화 문서로 저장하는 방법보다 용량 감소 효과가 적을 수 있습니다. 해상도를 너무 낮게 설정하면 이미지 품질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3. HwpX Image Shrinker 프로그램 사용하기

이 방법은 외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한글 파일의 용량을 줄이는 방법입니다. 특히 대용량 파일에 효과적입니다.

방법:

  1. HwpX Image Shrinker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고 압축을 풉니다.
  2. 용량을 줄일 한글 파일을 열고 [파일] - [다른 이름으로 저장하기]를 클릭합니다.
  3. 파일 형식을 "한글 표준 문서(*.hwpx)"로 선택하고 저장합니다.
  4. HwpX Image Shrinker 프로그램을 실행합니다.
  5. Src 부분의 [Desig] 버튼을 클릭하여 용량을 줄일 hwpx 파일을 선택합니다.
  6. 필요에 따라 Dst 부분에서 출력 파일 위치와 이름을 지정합니다.
  7. [Run!] 버튼을 클릭하여 변환을 시작합니다.
  8. 변환이 완료되면 파일 용량 감소 정도가 표시됩니다.

장점: 파일 용량을 15~30% 수준으로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사용법이 간단합니다.

단점: 멀티코어를 지원하지 않아 대용량 파일 처리 시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습니다. hwpx 형식으로 변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한글 파일 압축 저장 설정하기

한글 프로그램에는 기본적으로 압축 저장 기능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설정이 비활성화되어 있으면 파일 크기가 크게 늘어날 수 있으므로 확인해 보세요.

방법:

  1. 한글 2002: [파일] > [환경 설정] > [편집 탭]으로 이동한 후 "압축 저장" 옵션을 선택합니다.
  2. 한글 2007 이상: [도구] > [환경 설정]에서 파일 메뉴의 "한글 문서 (*.hwp) 압축 저장"을 선택합니다.

참고: 압축 저장을 활성화하면 파일을 읽고 쓸 때 약간 더 시간이 걸릴 수 있지만, 파일 크기는 최대 5배까지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중요한 문서를 작성하거나 편집할 때는 압축 저장을 끄고 작업하는 것이 좋습니다.

실제 용량 감소 효과 비교

각 방법별 용량 감소 효과를 비교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방법 원본 파일 압축 후 감소율
모바일 최적화 14.6 MB 1.5 MB 약 90%
그림 용량 줄이기 14.6 MB 3.09 MB 약 79%
HwpX Image Shrinker 17.1 MB 2.6~5.1 MB 약 70~85%

용량 줄이기 시 주의사항

  1. 원본 파일 보관: 항상 원본 한글 파일을 잘 보관해두고 다른 이름으로 저장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2. 해상도 설정: 해상도를 너무 낮게 설정하면 이미지가 뭉개지거나 흐릿해질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150dpi 정도가 적당합니다.
    • 120dpi 이하: 거의 사용할 수 없는 품질
    • 150dpi 이상: 웹페이지나 빔프로젝터 사용 시 적합
    • 220dpi 이상: 인쇄물에 적합
  3. 설정 초기화: 그림 용량 줄이기 설정을 사용한 후에는 다른 문서 작업에도 같은 설정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작업 완료 후 설정을 초기화하는 것이 좋습니다.
  4. 모바일 최적화 문서의 한계: 모바일 최적화 문서는 개체를 그림으로 저장하고 해상도가 낮아지므로, 후속 편집이 필요한 문서에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결론

한글 문서 파일의 용량을 줄이는 방법은 크게 세 가지가 있습니다. 모바일 최적화 문서로 저장하기, 그림 용량 줄이기 설정 사용하기, 그리고 HwpX Image Shrinker 프로그램 사용하기입니다. 각 방법은 장단점이 있으므로, 문서의 특성과 용도에 맞게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파일 크기를 최대한 줄이려면 모바일 최적화 문서로 저장하는 방법이 가장 효과적이지만, 문서의 편집 가능성을 유지하면서 용량을 줄이려면 그림 용량 줄이기 설정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대용량 파일을 처리해야 하는 경우에는 HwpX Image Shrinker 프로그램을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어떤 방법을 선택하든, 원본 파일은 별도로 보관하고 압축된 파일은 다른 이름으로 저장하여 원본 데이터의 손실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Q: 한글 파일 용량이 큰 주된 원인은 무엇인가요?
A: 대부분 문서에 삽입된 그림 파일의 용량이 크기 때문입니다. 텍스트는 용량을 거의 차지하지 않지만, 고해상도 이미지는 파일 크기를 크게 증가시킵니다.

Q: 모바일 최적화 문서로 저장하면 어떤 단점이 있나요?
A: 차트, 글맵시, OLE 등의 개체가 모두 이미지로 변환되어 후속 편집이 어려워지고, 이미지 해상도가 낮아질 수 있습니다.

Q: 그림 용량 줄이기에서 적정 해상도는 얼마인가요?
A: 일반적으로 150dpi 정도가 적당합니다. 웹이나 화면 표시용은 150dpi 이상, 인쇄물은 220dpi 이상이 권장됩니다.

Q: HwpX Image Shrinker 프로그램은 어디서 구할 수 있나요?
A: 프로그램 제작자의 사이트(https://teus.me/435)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압축 해제 후 설치 없이 바로 실행 가능합니다.

Q: 한글 파일 압축 저장 기능은 어떻게 활성화하나요?
A: 한글 2007 이상 버전에서는 [도구] > [환경 설정]에서 파일 메뉴의 "한글 문서 (*.hwp) 압축 저장"을 선택하면 됩니다.

댓글